분단의 상징, 비무장지대의 두 마을
분단의 상징, 비무장지대의 두 마을
  • 문장순
  • 승인 2023.08.30 22: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성동 마을과 기정동 마을은 비무장지대에 있다. 비무장지대에는 사실상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이다. 그런데 정전협정체결 당시 남북 각각 1개 마을을 두기로 했다. 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비무장지대 내에 대성동은 남측, 북측에는 기정동이 있다.

대성동 마을은 2020년 기준 51세대 총 154명이 거주하고 있다. 가구당 평균 3만평 정도의 농사를 지어면서 살고 있다. 조금만 옆쪽으로 가면 바로 군사분계선, 북쪽으로 올라가면 판문점이 있다. 바로 코 앞에는 북한 인공기가 보인다. 북쪽의 기정동 마을의 인공기는 폭이 30미터 크기로 약 160미터 높이에 달려 있다. 대성동 마을의 폭 19미터 높이 99.8미타와는 차이가 난다. 높이 달면 자존심이 조금 세워지는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두 마을간의 거리가 1,8km니까 그야말로 지척간의 거리에서 남북마을이 마주하고 있다.

기정동 마을은 대남선전선동으로 활용의 성격이 강하다. 멀리서도 북한의 기정동 마을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북한의 방식이라 할 것이다. 북한 농촌마을의 주택이고 농지가 멀리서 보인다. 최근 한 탈북자는 이 마을 거주 인원은 특별히 선발된 농장원들로 군대식 생활을 하면서 외부와 완전 차단된 채 행동이 통제되어 생활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방송을 통해 북한이 살고 좋은 곳이라고 선전을 한다. 대성동 마을사람들은 선전 마이크 소리가 소음으로 들린다고 할 정도로 선전을 많이 했던 적도 있었다. 북한의 입장에서는 남한 주민에게 보여주고 싶은 마을로 생각하면서 선전을 했겠지만 대성동마을 사람들은 동요된 적이 없었다.

우리의 대성동 마을은 ''이 붙어서 행정구역 단위가 동인 줄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실제 행정구역상으로는 파주시( 장단군) 군내면 조산리이며 모든 행정 업무는 장단면에서 처리한다. 흔히 '대성동 자유의 마을'이라고도 불린다.

자유의 마을은 유엔군 사령부의 민사 규정과 대한민국 법률이 공동으로 적용되는 특수 지역이다. 지역상 행정구역은 파주시에 속하나 민사 행정 및 구제 사업은 유엔군 사령부의 관리를 받고 있다. 생활에서도 제약을 받고 있다. 마을의 주민에게는 거주 이전의 제약이 있고 대한민국 국토에서 유일하게 통행금지가 적용되는 지역이다. 또 토지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으나 국방의 의무와 납세의 의무가 면제되며, 정부로부터 각종 지원을 받는다.

거주이전에는 좀 더 엄격하다. 정전협정 체결 당시 거주했던 원주민들과 그 자손들만이 거주할 수 있다. 대성동 마을 주민으로 1년 중 8개월 이상을 대성동에서 거주하지 않으면 주민권이 박탈된다독특하게 남성이 외지인 여성과 결혼한다면 주민으로 남을 수 있지만, 여성이 외지인 남성과 결혼한다면 마을을 떠나야 한다다만 우리의 전통인 외지인 남성이 데릴사위로 들어가는 방법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 대성동 주민이 32세가 되면 대성동에서 계속 살아갈지, 대성동을 떠나서 살지를 본인이 결정해야 한다. 대성동 출신이 대성동으로 귀농해서 인생 말년을 보내고 싶은 사람도 있을 테니 원한다면 나중에 다시 대성동으로 들어와서 살 수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자의로 대성동을 떠난 사람이 다시 대성동 주민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주민들의 의견을 묻는 주민회의를 거쳐야 한다.

더구나 마을주민회의에서 결정되었다고 할지라도 유엔군사령관의 허가를 받아야  주민으로 복귀할 권리를 얻게 된다. 지금도 외지인이 마을에 들어오는 게 어렵지만 마을주민이 나가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다. 이름만 자유의 마을이지만 실제는 자유 없는 자유의 마을인 셈이다. 6.25전쟁이 가져다 준 제약조건인 셈이다.

대한민국 주민이면서 헌법상 보장된 거주이전의 자유 등의 자유를 제약받는 상황이 안타깝다. 그렇다고 대성동에 누구든 이주를 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 대성동 주민들이 자유의 제약에서 벗어나는 날이 통일된 날이 아닐까 생각한다.

정응택(대경통일교육연구회 이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