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20일 경북 포항에서 경북, 대구, 을 비롯해 8개 시도에 대한 기회발전특구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

21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에서는 이차전지,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다수 기업을 유치한 포항, 구미, 안동, 상주가 지정됐다. 기회발전특구는 파격적인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로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과 창업을 유도하는 정부의 핵심 정책 중 하나다.

이에 따라 도와 포항시, 구미시, 안동시, 상주시는 경제계를 중심으로 일제히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포항은 이차전지 소재 분야로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와 영일만일반산업단지를 더해 254만㎡, 구미는 반도체·이차전지·방산 분야로 구미국가산업단지 1∼5단지 188만㎡가 특구에 포함됐다.

상주는 이차전지 소재 분야로 청리일반산업단지 36만㎡, 안동은 바이오 분야로 경북바이오 2차 일반산업단지 23만㎡가 지정됐다.

경북은 이날 지정된 전국 기회발전특구 중 501만㎡로 가장 넓고 포항은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기회발전특구에 투자하는 기업은 세제·재정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받는다.

수도권 기업이 사업용 부동산을 처분한 뒤 특구로 이전하면 양도차익 소득·법인세를 특구에서 확보한 부동산을 처분할 때까지 과세가 미뤄진다.

창업기업이나 신설 사업장은 소득·법인세가 감면된다.

특구로 이전하는 기업을 비롯해 창업 기업, 공장 신·증설 기업은 취득·재산세가 감면된다.

기업은 상속세, 이자·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등에서도 다양한 혜택을 받는다.

포항시는 지난해 지정된 이차전지 특화단지와 이번에 지정된 기회발전특구가 상승효과를 내면서 세계적인 이차전지 클러스터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한다.

도나 포항시, 구미시, 상주시, 안동시는 특구 지정으로 기업이 많은 혜택을 보는 만큼 기업 유치나 추가 투자에 유리할 것으로 본다.

다만 경주와 영주는 이번에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신청했으나 선정되지 않아 보완을 거쳐 재심의에 도전할 예정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특구 지정을 계기로 신성장 산업도시로 발전하리라 본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3개지역이 기회발전 특구로 지정됐과, 부산은 문현금융단지와 북항 재개발 2단계 지역 일대가 ‘금융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대구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